생활정보

모야모야병 증상 원인 완치 가능할까?

정보주는 여자 2025. 4. 8. 13:39
728x90
반응형

모야모야명은 특별한 이유 없이 두개 내 내경동맥의 끝부분에 협착이나 폐색이 보이고 그 부군에 모야모야 혈관이라는 작은 이상 혈고나이 관찰되는 것을 말합니다

반응형

일본말로 "담배연기가 모락모락 올라가는 모양'의 뜻을 지닌 모야모야병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발병률이 높은데요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많이 발병되며 유전적 원인이 의심되는 병입니다

 

최근 금쪽같은 내새끼에 등장한 금쪽이의 병이 모야모야병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금쪽이는 마비증상 때문에 울면 안되는 예비 초1딸로 출연중인데요

금쪽이의 아빠 역시 모야모야병 환자로 6년전 뇌출혈로 쓰러져 의식이 없는 상황인 것으로 밝혀져 시청자들의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모야모야병 증상 

 

모야모야병의 증상은 발병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3세 이하의 어린 영아에게서 모야보야병 발병은 드물지만 발생하면 증상이 빠르게 짆랭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소아의 경우 뇌혈관이 좁아지면서 일시작으로 뇌기능의 장애가 생기며 일과성 발작이 나타나고 울거나 감정이 격해지면 호흡이 가빠지며 뇌혈관 폐색이 심해집니다 또한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동반됩니다

증상이 회복되지 않고 한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뇌경색이 발생한 것을 의심해야합니다 

 

 

중학생 이상의 청소년시기에 발병하게 되면 뇌출혈이 발생하며 심한 두통과 의식저하를 보이기도 합니다

 

30~40대 성인의 모야모야병 첫 증상은  뇌출혈을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영구적인 장애를 남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인이 되어서 발생하는 경우 특별한 증상없이 두통만 동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모야모야병 원인 

 

모야모야병의 원인은 동맥 안쪽의 막인 동맥내막이 점차 두꺼워지며 발생하는데요

아직 정확한 발병 원리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후천적인 환경요소보다는 유전적 원인이 의심되고 있는데요

명확하게 밝혀진 점은 없지만 유전적 원인을 가진 사람이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여 혈관이 좁아지면서 모야모야병이 발생하는걸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완치 가능할까?

 

 

모야모야병의 치료여부와 시기 결정은 환자의 연령, 증상의 유무와 병의 진행정도가 중요한데요 

어릴수록 경우 증상이 심하고 진행속도가 빨라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뇌허혈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환자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우선되며 성인의 경우 무증상인 경우 특별한 치료보다는 경과 관찰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야모야병은 1차 수술을 바치고 2~4개월이 지나 노혈관 검사를 시행하여 반대편 뇌에 2차 수술을 시행합니다 

합병증으로 뇌경색이 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하며 수술 후 4~5년간 치료를 받으며 뇌혈류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며 경과를 지켜봐야합니다

 

발병 후 원상태로의 회복은 어렵지만 조기 진단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완치에 가까운 일상생활을 할 수도 있는데요 

예방법은 없지만 조기 치료가 중요한 만큼 뇌허혈 증상이 발생하면 정밀검사를 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